top of page

돌고래유괴단, 그 정점의 광고

연극의 왕 | 그랑사가 | 돌고래유괴단 | 2020


이 광고는 ‘햄릿’ ‘토끼와 거북이’ ‘로미오와 줄리엣’을 섞은 내용이며 전설의 검을 누가 차지하느냐를 두고 위 작품들에 주인공들이 경쟁하는 내용인데, 결국 그랑사가 스토리의 주인공 '라스'가 검을 차지합니다.

이 광고에는 김강훈, 유아인, 신구, 엄태구, 배성우, 조여정, 오정세, 박희순, 이경영, 양동근, 태연, 주호민, 이말년 등 13명의 스타급 셀럽들이 대거 출연해 화제를 모았습니다.





 

그랑사가, GRANSAGA

그랑사가는 대한민국의 신생 게임 개발사 엔픽셀(NPIXEL)이 개발 및 유통하는 3D 오픈 필드 MMORPG이다.

한국 서비스를 시작으로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기본적인 게임 시스템의 토대와 운영 방식은 세븐나이츠2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과 유사한 면이 많이 보인다.

일단 세븐나이츠2와 비교하자면 IP 요소 때문에 외형을 변경할 수 없는 세븐나이츠2보다 치장성을 강조하고 있다. 덕분에 해당 게임의 방향성은 엑소스 히어로즈와 더 유사하게 볼 수 있다. 다만 엑소스 히어로즈가 포기해버린 공략 콘텐츠 부분에 대해 그랑사가는 아직 작게 나마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부분은 원신이 포지션을 굳히고 있기 때문에 향후 어떤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운영은 어떻게 해나가는지에 따라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블소 레볼루션과 비교해보면 장착 아이템의 수가 많다는 유사성이 있으나 블소 레볼루션처럼 스펙업을 위한 과금을 유도하기 보다는 수집형 RPG로서의 과금 유도가 강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IP 사업을 하겠다는 의도로도 해석되는데, 표절 논란을 겪은 상태에서 과연 시장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은 편이다.

운영 방식의 경우 표절 논란으로 집중된 관심에 대해 광고나 이벤트 등을 통한 노이즈 마케팅의 기회로 삼는 모습을 보면 운영 방식이 최근 게임들의 신중한 운영 방식과는 결이 다른 리스크를 감수하는 모습을 보여 향후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또한 과도한 마케팅으로 세간의 비판과 유저들의 불만을 초래한 측면도 있다. 최근 게임업계의 고질적 문제인 스타 마케팅에 편승해 게임성보단 화제성으로 이슈몰이를 하는 마케팅 전략을 구사했다. 이러한 마케팅에 일부에선 이를 절약해 개발비에 쓰라는 힐난을 듣기도 했다.

이러한 잡음들은 세븐나이츠가 겪은 논란과 굉장히 유사하다보니 결국 세븐나이츠와 같은 노선을 탈 가능성도 있다.


결론적으로 부족한 게임성에도 불구하고 화려한 그래픽, 우수한 성우진과 OST, 공격적 마케팅과 이벤트 등에 힘입어 유저들의 시선을 끄는데 성공해 극초반에 우수한 앱스토어 실적을 만들어내긴 했으나, 밸런스 조절 실패와 버그 난립, 난해한 PVE와 부실한 PVP, 낮은 편의성과 컨트롤 요소, 과도한 과금유도 등의 문제로 인해 유저이탈이 가속화되면서 과도한 마케팅으로 인해 추락하고 있는 중이다. 현재는 잠수함 패치나 수많은 버그들 그리고 거짓말을 일삼는 태도로 인해 3개월 만에 나락을 찍고 있다.


◈ 그랑사가 공식 사이트 ◈



 

등장인물 / 페러디


햄릿, Hamlet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쓴 희곡. 그의 4대 비극 중에서도 가장 유명하고 대중의 사랑을 많이 받는 작품이다.

출간 당시 원래의 제목은 '덴마크 왕자 햄릿의 비극(The Tragedy of Hamlet, Prince of Denmark)'이었다.

1601년, 4대 비극 중 가장 먼저 쓰였으며 이전까지 셰익스피어는 희극과 역사극 등을 주로 집필한 만큼 동시대의 다른 비극들과는 달리 냉소적이고 풍자적인 기질이 강하며 고전에서 인용하는 부분도 많다. 작중 배경은 덴마크이다. 엘시노어의 크론보르 성이 무대다.

작품의 이름이자 주인공 햄릿은 전설의 인물 암레스(Amleth) 왕자의 이름 맨 뒷글자 h를 앞으로 옮긴 것. 다만 일반명사(hamlet)로는 영어로 작은 마을이란 뜻이다. 전설에 따르면 거트루드의 아버지이자 암레스의 외할아버지는 7세기 말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흐뢰렉(Hrørek) 왕이라고 한다.

16세기 말 토머스 키드의 작품 스페인의 비극(Spanish Tragedy)이 햄릿과 유사점이 있다는 평이 있다.



아더왕, King Arthur

전설 속 영국아서 왕이 나오는 구전문학, 운문, 산문의 이야기를 총칭하는 것으로, 중세 유럽 문학의 가장 중요한 주제였다.

아서 왕 전설은 본래 영국 브리튼섬 남부의 브리튼인신화였다. 로만 브리튼 시대를 살았던 이들은 선진 로마 문물을 받아들인 켈트족으로 기독교인이었다. 따라서 아서 왕 전설 역시 켈트 신화가 바탕이 되는 가운데, 로마 신화의 요소가 더해져 있으며 기독교 신화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후 시대적 흐름에 따라 바다 건너 넘어온 앵글로색슨족의 영향을 받으며 게르만 문화 요소가 더해졌고, 중세시대 내내 전 유럽에서 큰 인기를 누리며 유럽의 여러 영웅 서사들이 편입되며, 중세 유럽의 방대한 이야기군(群)인 아서 왕 전설이 만들어졌다.



로미오와 줄리엣, Romeo and Juliet

로미오와 줄리엣(영어: Romeo and Juliet, 문화어: 로미오와 쥴리에트)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초기 희곡이다. 서로 원수인 가문에서 태어난 로미오와 줄리엣이 사랑을 하게 되고 그들의 비극적인 죽음이 가문을 화해하게 만드는 이야기이다. 아름다운 대사와 극적 효과로 많은 칭송을 받는 셰익스피어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이다. 셰익스피어 당대에서부터 햄릿과 함께 가장 많이 공연되었으며 지금도 여전히 공연되고 있다. 두 주인공은 젊은 연인의 전형으로 자리잡았다.



피노키오, Pinocchio

이탈리아의 소설.

세계적으로 유명한 동화 중 하나로 이탈리아 아동 문학의 걸작 중 하나다. 유네스코 자료에 따르면,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260개의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에서 가장 많이 번역된 책 중 하나이며, 가장 많이 번역된 이탈리아어 책이기도 하다.

Pinocchio라는 말은 원래 토스카나어(표준 이탈리아어의 기반이 된 사투리)로 잣송이를 뜻한다. 이탈리아피렌체 출신 작가 카를로 콜로디1883년 발표한 동화와 그 동화에 나오는 나무인형 주인공의 이름. 사실 동화의 원제는 피노키오의 모험, 꼭두각시 이야기(Le avventure di Pinocchio. Storia di un burattino)로 1881~1882년 동안 총 36회차로 로마 지역 어린이 신문에서 연재되었다. 콜로디가 로마 지역 어린이 신문에 피노키오를 연재하면서 원고료를 지급받지 못하자 콜로디가 홧김에 피노키오가 강도에 의해 나무에 매달려 죽게 되는 잔혹한 내용의 결말로 완결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다만 결말 후 여러 독자들의 항의와 담당 편집자의 설득 및 신문사에서 밀린 원고료를 지급하면서 콜로디는 결말 내용을 다시 수정하여 피노키오가 사람이 되는 해피엔딩으로 완결하였다. 이후 원래 동화책으로 만들 예정은 없었지만, 인기가 매우 좋아서 연재를 마친 이듬해인 1883년에 책으로 출판된다.



토끼전

《토끼전》(토끼傳) 또는 《별주부전》(鼈主簿傳), 《토생원전》(兎生員傳)은 조선의 고전 소설이다. 정확한 명칭은 《수궁전》(水宮傳)이다. 본래 구전되던 것이 조선 후기에 기록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전한다. 필사본 및 목판본의 이본이 다수 존재하며, 판본에 따라 결말 및 내용이 상이하다. 판소리 《수궁가》의 원 작품이고, 개화기 소설 「토끼의 간」이 소설로부터 창작되었다.


 

비하인드






 

TMI

1. 그랑사가는 연예인을 활용하는 다른 게임 광고와 차별화 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단순히 게임 내용을 알리는 것이 아닌 젊은 세대가 좋아할 만한 밈과 서사적인 내용 구성에 힘을 실었다. 밈으로 유명한 ‘이거 보여주려고 어그로 끌었다’를 활용해 광고 막바지를 코믹하게 풀어내기도.


회사 측은 “이전까지는 스타 연예인을 기용하는 것만으로도 주목을 받을 수 있었지만, 기업들의 일방적인 메시지에 피로감을 호소하는 분도 많다고 봤다”며 “밈(meme)을 통해 ‘재미’라는 공감을 끌어낼 수 있었고, 이것이 시청자의 머릿속에 게임을 거부감 없이 남길 수 있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2. 좀처럼 섭외하기 힘든 스타들을 모은 만큼 그랑사가는 광고 외 콘텐츠를 통해 게임에 대한 관심을 이어나간다는 계획. 최근 공개한 메이킹 영상을 비롯해 그랑사가 출시 일정에 맞춰 쿠키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공개할 예정이다.


3. 영상 내 배우들이 연기한 햄릿, 아더왕, 자라, 로미오와 줄리엣 모두 ‘전설’이라는 공통 키워드가 있다. 게임 제목도 ‘위대한 전설’ 뜻이 있어 전설적인 명작과 어깨를 견주는 모습을 시각화하려는 의도로 등장인물을 설정했다고 한다.






1 Comment

Rated 0 out of 5 stars.
No ratings yet

Add a rating
Wooseok Chang
Wooseok Chang
Apr 01, 2023
Rated 5 out of 5 stars.

퀄 미쳤네 광고 ㅎ

Like

광고영상, 웃긴 영상, 재미있는 영상, CF, 음악이 좋은 영상

광고지만 괜찮아 카카오톡 채널
  • Youtube
  • Instagram
  • Facebook

Copyright ⓒ 광고지만 괜찮아.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